연극
마른 여자들
DAC Artist(2024)
2025.09.10 ~ 2025.09.28Space111
* 패키지티켓 선예매: 8.12(화) 오후 4시
* 장애인 관객 선예매: 8.13(수) 오후 4시
* 일반 예매: 8.14(목) 오후 4시
화수목금 7시 30분 / 토일 3시
정가 35,000원
13세 이상 관람가 (2012년생 포함 이전 출생자 관람 가능)
120분(예정)
관객과의 대화
9.13(토) 3시 공연 종료 후
박주영(각색·연출), 하영미(움직임), 이세영, 황미영(배우), 진행 이정민(프로듀서)
실황 영상 촬영
9.12(금) 7시 30분 공연
해당 일시에 공연 실황 영상 촬영이 진행됩니다
공연 관람 및 예매 시 참고 부탁드립니다
예매 가능 시간
공연 시작 2시간 전까지
문의 : 두산아트센터 02-708-5001
[공연 주의사항]
본 공연의 일부 장면에 욕설 및 섭식장애, 신체 이미지, 구토, 자존감, 성적행위에 대한 묘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안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단, 공연 내용을 일부 포함하고 있으니 관람 전 확인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공연 주의사항 자세히 보기(클릭)
마른 여자들 Thin Girls
<마른 여자들>은 뉴질랜드 출신의 작가 다이애나 클라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며, 섭식장애를 가진 쌍둥이 자매 로즈와 릴리의 이야기를 담는다. 아무것도 통제할 수 없는 세상에서 두 사람이 유일하게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몸이었고 릴리와 로즈, 그리고 수많은 마른 여자들은 세상에서 조금씩 사라지기를 택한다. 박주영은 자신의 몸과 반목하는 인물들을 통해 여성의 몸에 대한 욕망과 혐오의 시선, 그리고 이를 벗어나기 위한 여성들의 연대에 주목한다.
시놉시스
“나는 확인하고 싶다. 매일 조금씩 내가 없어지는 걸.”
거식증 환자를 위한 시설에 있는 로즈. 그는 이곳에서 삶을 유보하고 있다. 시설에서 만난 마른 여자들은 나이도 생김새도 다르지만 로즈와 꼭 같은 사람들이다. 거울이 없는 이곳에서 스스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은 서로의 눈동자를 바라보는 것. 이곳의 여자들은 함께 마르고, 함께 죽어가고 있다. 로즈는 몸무게가 더 늘지도 줄지도 않는 ‘0’(제로) 상태로 있을 수 있다면 바라는 것이 없다. 로즈가 바라는 것은 오직 그것 뿐이다.
그렇게 애써 멈춰 두었던 로즈의 세상에 점점 금이 가기 시작한다. 마른 여자들의 눈 속에서, 어두운 밤 검은 유리창 너머에서, 밤마다 밀려오는 기억 속에서, 자신의 쌍둥이 언니의 몸에서. 더 이상 못 본체 할 수 없는 삶과 욕망이 밀려와 로즈를 흔들고 뒤엎는다. 이제 로즈는 다시 살아가기 위해 자신을 놓아야만 한다. 로즈는, 우리는, 그럴 수 있을까?
기획·제작 두산아트센터
원작 다이애나 클라크(Diana Clarke)
『Thin Girls』(HarperCollins, 2020)
『마른 여자들』(㈜창비, 2021, 번역 변용란)
각색·연출 박주영
조연출 김서휘
출연 김별 김승환 김유민 이세영 임윤진 정제이 최정화 황미영
프로덕션 무대감독 김영주
무대디자인 남경식
무대제작 에스테이지(s_TAGe, 대표 이윤중)
조명디자인 김지우
조명어시스턴트·프로그래머 김현
조명오퍼레이터 박채린
음악 정현정
영상디자인·제작 LIMVERT(임정은)
음향디자인·시스템디자인 LIMVERT(임정은)
영상·음향오퍼레이터 김서휘
의상디자인 이윤진
의상제작 옷장
분장·소품디자인 장경숙
분장팀 홍주미
소품팀 박진아
움직임 하영미

각색·연출가 박주영
DAC Artist
기지 작·연출가
혜화동1번지 8기 동인
박주영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여성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극작가 겸 연출가이다.
여성의 한계와 욕망, 결핍을 거울삼아 인간을 보다 깊이 있게 바라보고자 한다.
작∙연출 <나의 죽음을 애도하기><감나무 멸망전><고쳐서 나가는 곳><영자씨의 시발택시>< 지하 6층 앨리스><깔깔 울었다!><국산좀비 : 더 비기닝> 외
연출 <연차대전><매달린 집><그곳이 멀지 않다> 외
작 <다락방의 미친여자>
각색 <세상이 이렇게 끝나는구나 쾅 소리 한 번 없이 흐느낌으로>
수상 2023 제60회 동아연극상 신인연출상 <고쳐서 나가는 곳>
연출노트
나는 내 고양이가 죽은 후 3개월 동안 먹고 토하기를 반복했다. 딱히 다이어트를 하려던 건 아니었지만 점점 내 몸은 변했고, 그런 날 보고 사람들은 웃으며 ‘야아- 살 빠졌다!’ 라고 인사했다. 아무도 우리의 몸을 제대로 보지 않는다. 거울을 들여다보는 나 조차도 그렇다.
‘마른 여자들’이 먹지 않음으로 말하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마르고 싶다’는 마음은 단순하게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아둔한 욕망이 아니다. 어쩌면 그것은, 존재를 확인받고 싶다는 간절한 외침일지도 모른다.
DAC Artist (DOOSAN ART CENTER Artist)
공연 예술 분야의 40세 이하 젊은 예술가들을 발굴, 선정하여 신작 제작, 작품개발 리서치 및 워크숍 등 다양한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아티스트
본주(작·연출가) 이경헌(극작가)
강동훈(극작가) 박주영(작∙연출가)
배해률(극작가) 신진호(연출가)
강현주(작∙연출가) 진해정(작∙연출가)
진주(극작가) 추다혜(국악창작자)
김수정(작∙연출가) 이승희(국악창작자) 윤성호(작∙연출가)
양손프로젝트(창작그룹) 이경성(작∙연출가) 양태석(드럼아티스트) 김은성(극작가)
여신동(무대디자이너∙연출가) 성기웅(작∙연출가) 이자람(국악창작자) 서재형(연출) 한아름(극작가)

이세영 | 로즈 역
연극 <납과 복숭아><짬뽕><닐 암스트롱이 달에 갔을 때><멸망의 로맨스><이번 작업은 좀 열어두기로 하죠><비행을 위한> 외
가족극 <뭐든지 텃밭>
드라마 <정년이>
수상
2023 제44회 서울연극제 연기상 <추락 Ⅱ>

황미영 | 릴리 역

김유민 | 제나 역
연극 <지금이야, 정애씨!><거의인간><햄릿><아들에게(부제: 미옥 앨리스 현)><고쳐서 나가는 곳> 외
영화 <분리수거> 외

김별 | 로런 역
연극 <헌치백><기존의 인형들: 인형의 텍스트><풀><햄릿><아란의 욕조><웰킨><작가><로테르담><영지> 외
드라마 <용감무쌍 용수정> 외
영화 <경미의 세계><영미><코알라> 외

임윤진 | 캣 역
연극 <몰타의 유대인><고쳐서 나가는 곳><감나무 멸망전><해와 달에 관한 오래된 기억><사탄동맹><영자씨의 시발택시>
<밤의 사막 너머><1986 임윤진><아랫것들의 위><골목길 느와르-리처드 3세를 찾아서><지하철존재론-춤추듯 춤추지않는>
<멀티센스><거의 엘렉트라><내가장롱롱메롱문열었을때><떠도는 땅> 외
영화 <항거><타투> 외
수상
2018 제8회 PADAF 페스티벌 최우수 연기상

정제이 | 세라 역
연극 <수성다방><연차대전><감나무 멸망전><고쳐서 나가는 곳><극장믿고 천국가세요><영자씨의 시발택시>
<뻥이오 뻥><지하 6층 앨리스><그 곳이 멀지 않다><악어시><결혼><국산좀비><졸업> 외
영화 <레슨 중><연기><반디> 외

최정화 | 캐서린 ∙ 그레이스 역
연극 <지금이야 정애씨><부대찌개><82년생 김지영><영자씨의 시발택시><어느 날 갑자기>
<말뫼의 눈물><지금도 가슴 설렌다><사랑해 엄마><소년B가 사는 집><복사꽃 지면 송화 날리고> 외
음악극 <비밀의 노래><패스> 외
드라마 <협상의 기술><살롱 드 홈즈><정년이><지옥 시즌2><남이 될 수 있을까> 외
영화 <우리는 천국에 갈 순 없지만 사랑은 할 수 있겠지><파묘><설계자><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외

김승환 | 필 ∙ 상담사 ∙ 남자친구들 역
연극 <하붑><동백당; 빵집의 사람들><배소고지 이야기; 기억의 연못><그녀를 용서할 수 있을까>
<조치원 새가 이르는 곳><세븐씬><환상회향><외경><세기의 사나이><고래가 산다> 외
드라마 <협상의 기술><봄밤> 외
영화 <서울의 봄><요시찰><보충수업><60일의 썸머> 외
유의사항
- 예매티켓 수령 및 현장구매는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 공연장 내에서는 휴대폰 전원을 꺼주시기 바랍니다.
- 공연 시작 후에는 객석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공연장 내에서는 꽃다발 증정,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음식물 반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주차장 이용 안내
- 이용시간: 오전 6시 ~ 오후 11시
- 주차공간: 지하 2층 ~ 지하 5층, 150여대
- 주차요금: 당일 관람 고객에 한해 4시간 5,000원 주차 할인권 제공, 4시간 초과 시 10분당 1,000원
티켓 예매자는 본 안내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숙지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취소 수수료
두산아트센터에서 예매 시, 취소일자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취소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예매일 기준보다 관람일 기준이 우선 적용됩니다.
단, 예매 당일 밤 12시 이전 취소 시에는 취소수수료가 없으며, 예매수수료도 환불됩니다.(취소기한 내에 한함)
취소일 |
취소 수수료 |
취소 방법 |
예매 후 24시간 이내 취소 시 |
없음 |
홈페이지-마이페이지-예매내역에서 직접 취소
*관람 1일 전 오후 5시까지, 단 토요일은 오전 11시까지 가능
이후 기간은 전화 문의만 가능 |
관람일 10일전까지 |
없음 |
관람일 9~1일전까지 |
티켓금액의 10% 공제 후 환급 |
관람 당일 공연 시작 직전까지 |
티켓금액의 90% 공제 후 환급 |
전화 문의만 가능, 직접 취소 불가 |
* 온라인 취소 마감기한 이후 취소를 원할 경우 두산아트센터(02-708-5001)로 전화 문의
환불 및 변경
- 예매 변경을 원할 경우, 예매티켓 취소 후 재예매(취소 시, 두산아트센터 환불수수료 적용)
- 입장권 환불은 티켓 예매시 선택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 가능
예) 신용카드로 예매한 경우 : 카드로 환불 가능, 가상계좌로 예매한 경우 : 환불일로부터 7~15일이내 고객 지정계좌로 이체 수수료 제외 후 환불
- 두산아트센터 티켓 이외의 외부 예매처나 공연기획사에서 예매한 티켓은 직접 예매한 곳으로 환불 및 변경 절차 문의
- 초대권 환불 불가
-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 시, 환불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