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닫기

현재/다음공연

공연 현재/다음공연
마른 여자들
연극

마른 여자들

DAC Artist(2024)

2025.09.10 ~ 2025.09.28Space111
* 패키지티켓 선예매: 8.12(화) 오후 4시
* 장애인 관객 선예매: 8.13(수) 오후 4시
* 일반 예매: 8.14(목) 오후 4시


화수목금 7시 30분 / 토일 3시

정가 35,000원

13세 이상 관람가 (2012년생 포함 이전 출생자 관람 가능)

120분(예정)

관객과의 대화
9.13(토) 3시 공연 종료 후
박주영(각색·연출), 하영미(움직임), 이세영, 황미영(배우), 진행 이정민(프로듀서)

실황 영상 촬영
9.12(금) 7시 30분 공연
해당 일시에 공연 실황 영상 촬영이 진행됩니다
공연 관람 및 예매 시 참고 부탁드립니다

예매 가능 시간
공연 시작 2시간 전까지

문의 : 두산아트센터 02-708-5001

[공연 주의사항]

본 공연의 일부 장면에 욕설 및 섭식장애, 신체 이미지, 구토, 자존감, 성적행위에 대한 묘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안내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단, 공연 내용을 일부 포함하고 있으니 관람 전 확인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공연 주의사항 자세히 보기(클릭)

 

 

마른 여자들 Thin Girls
<마른 여자들>은 뉴질랜드 출신의 작가 다이애나 클라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며, 섭식장애를 가진 쌍둥이 자매 로즈와 릴리의 이야기를 담는다. 아무것도 통제할 수 없는 세상에서 두 사람이 유일하게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몸이었고 릴리와 로즈, 그리고 수많은 마른 여자들은 세상에서 조금씩 사라지기를 택한다. 박주영은 자신의 몸과 반목하는 인물들을 통해 여성의 몸에 대한 욕망과 혐오의 시선, 그리고 이를 벗어나기 위한 여성들의 연대에 주목한다.

 

 

시놉시스

 

“나는 확인하고 싶다. 매일 조금씩 내가 없어지는 걸.”

거식증 환자를 위한 시설에 있는 로즈. 그는 이곳에서 삶을 유보하고 있다. 시설에서 만난 마른 여자들은 나이도 생김새도 다르지만 로즈와 꼭 같은 사람들이다. 거울이 없는 이곳에서 스스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은 서로의 눈동자를 바라보는 것. 이곳의 여자들은 함께 마르고, 함께 죽어가고 있다. 로즈는 몸무게가 더 늘지도 줄지도 않는 ‘0’(제로) 상태로 있을 수 있다면 바라는 것이 없다. 로즈가 바라는 것은 오직 그것 뿐이다.

그렇게 애써 멈춰 두었던 로즈의 세상에 점점 금이 가기 시작한다. 마른 여자들의 눈 속에서, 어두운 밤 검은 유리창 너머에서, 밤마다 밀려오는 기억 속에서, 자신의 쌍둥이 언니의 몸에서.  더 이상 못 본체 할 수 없는 삶과 욕망이 밀려와 로즈를 흔들고 뒤엎는다. 이제 로즈는 다시 살아가기 위해 자신을 놓아야만 한다. 로즈는, 우리는, 그럴 수 있을까?

 

 

 

기획·제작 두산아트센터

원작 다이애나 클라크(Diana Clarke)
      『Thin Girls』(HarperCollins, 2020)
      『마른 여자들』(㈜창비, 2021, 번역 변용란)

각색·연출 박주영

조연출 김서휘

출연 김별 김승환 김유민 이세영 임윤진 정제이 최정화 황미영

프로덕션 무대감독 김영주

 

무대디자인 남경식

무대제작 에스테이지(s_TAGe, 대표 이윤중)

 

조명디자인 김지우

조명어시스턴트·프로그래머 김현

조명오퍼레이터 박채린

 

음악 정현정

 

영상디자인·제작 LIMVERT(임정은)

음향디자인·시스템디자인 LIMVERT(임정은)

영상·음향오퍼레이터 김서휘

 

의상디자인 이윤진

의상제작 옷장

 

분장·소품디자인 장경숙

분장팀 홍주미

소품팀 박진아

 

움직임 하영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