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히스테리 앵자이어티 춤추는 할머니
						
							제14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2023)
						
						2025.11.26 ~ 2025.12.14Space111
						
							
								
										* 패키지티켓 선예매: 10.28(화) 오후 4시
* 장애인 관객 선예매: 10.29(수) 오후 4시 
   음성통화/문자예매 (070-8095-1405), 웹/모바일 예매 불가
* 일반 예매: 10.30(목) 오후 4시
화수목금 7시 30분 | 토일 3시
정가 35,000원
13세 이상 관람가 (2012년생 포함 이전 출생자 관람 가능)
90분(예정, 인터미션 없음)
관객과의 대화
11월 29일(토) 15:00 공연 종료 후
진행자 장지영(드라마터그) 참석 이오진(연출) 단편선(작곡) 
12월 13일(토) 15:00 공연 종료 후
진행자 이오진(연출) 참석 김유림 김은희 이화정 정대진 황미영 황순미(배우) 
실황 영상 촬영
12.3(수) 7시 30분 공연
해당 회차에 기록용 영상촬영이 진행됩니다.
예매 가능 시간
공연 시작 2시간 전까지
								
							
							
								문의 : 두산아트센터 02-708-5001
							
							
								
							
							
						 
						
							
						
					 
				  
			
			
				
				
					
						
							
								[공연 주의사항]
- 공연 관람시간(러닝타임)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좌석은 비지정석으로 운영합니다. 접근성이 용이한 좌석은 접근성 지원이 필요한 관객에게 우선 배정합니다.
 
[트리거 워닝]
“본 공연의 일부 장면에 욕설·비속어·여성혐오적 표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자살에 대한 직접적 언급, 죽음을 연상시키는 대사와 이미지가 있습니다.”
 
 
 
히스테리 앵자이어티 춤추는 할머니
제14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자 이오진은 극작가로 시작하여 연출가로 영역을 확장해온 창작자로 극단 호랑이기운에서 여성서사를 중심으로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작가의 문제의식과 세계관을 창작자들이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그 경험을 관객에게 제안함으로써 극장을 재현의 장소가 아닌 경험과 감각을 교환하는 장소로 만든다. 〈히스테리 앵자이어티 춤추는 할머니〉는 불안한 여자들을 위한 혼종의 음악극이다. 20대부터 50대의 여성 창작진이 모여서 삶의 불안과 화(火), 가난에 대해 자기 서사를 쓰고, 창작에 참여한다. ‘오늘은 어떻게 살아야 나중에 춤추는 할머니가 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서 시작하여, 불안과 수치심, 우울을 춤과 노래로 만든다.
 
 
 
공연소개
혼종의 음악극이다. 
여자 배우 여섯이 모여 삶의 분노, 불안, 가난에 대해 자기 서사를 썼다.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하나‘라는 질문으로 시작해 '나중에 건강한 노인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수수께끼를 놓고 울고 노래하며 춤을 추었다.
<히스테리 앵자이어티 춤추는 할머니>는 1막 ’2025년의 여자들‘과 2막 ’2058년에 여자들‘ 로 구성되어 있다.
1막에서는 오늘의 삶을 살아내는 여자들이 본인의 역사와 소소한 삶의 비기(秘技)를 전수하고, 2막에서는 생활동반자법과 사회적 가족법이 법제화된 근미래를 냉소적으로 상상한다.
 
 
 
기획제작 두산아트센터, 호랑이기운
공동창작
작/연출 이오진
작곡 단편선
드라마터그 장지영
작/출연 김유림 김은희 이화정 정대진 황미영 황순미
 
							
							
						
					 
				
					
						
							
								두산연강예술상
인재양성에 힘써온 두산 초대회장 연강 박두병 선생의 뜻을 이어 2010년에 제정했으며, 미술과 공연 분야에서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고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가는 40세 이하 예술가들을 지원합니다.
- 공연 예술부문 수상자
  강보름(’24), 이오진(’23), 이홍도(’22), 설유진(’21), 윤혜숙(’20), 윤미현(’19), 김정(’18), 이연주(’17), 구자혜(’16), 이자람(‘15), 이경성(‘14), 성기웅(‘13), 김은성(‘12), 윤한솔(‘11), 김낙형(‘10)
- 시각 예술부문 수상자
  정여름(’24), 유신애(’23), 정희민(’22), 업체eobchae(’21) 김경태(’20), 김주원(’19), 이윤이(’18), 권하윤(’17), 김희천 박광수 이호인(’16), 강정석 오민 유목연(’15),
  강동주 안정주 이윤성(’14) 김민애, 김영나, 차재민(’13), 김상돈 김지은 장지아(’12), 박주연 이소정 이재이(’11), 구동희 김시연 박미나(‘10)
 
 
 
이오진
제14회 두산연강예술상 수상자 이오진은 극작가로 시작하여 연출가로 영역을 확장해온 창작자로 극단 호랑이기운에서 여성서사를 중심으로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작가의 문제의식과 세계관을 창작자들이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그 경험을 관객에게 제안함으로써 극장을 재현의 장소가 아닌 경험과 감각을 교환하는 장소로 만든다.
 
연극 <생추어리 시티> <아침에 한 번에 일어날 수 있어요?> 뮤지컬 <수영장의 사과>
 
							
							
						
					 
				
					
						
							
								- 공연에서의 접근성이란? 
   장애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창작자 및 관객이 공연을 만들고 관람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접근성 매니저는 더 많은 관객들과 닿기 위해 소통하며 극장에 상주합니다.
- 접근성 주요 항목 : 한글자막 해설, 사전음성소개, 무대 및 의상 미니어처, 휠체어석, 이동지원(안내보행), 필담
- 전회차 극장에 접근성 매니저가 상주하고 있습니다. 사전 문의가 필요하신 경우 아래 번호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접근성 매니저 :070-8095-1405   (음성통화/문자 가능. 부재 시 메시지 남겨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 매표소에서 필담이 가능합니다.
- 실시간 전화 중계 서비스는 손말이음센터(국번없이 107)에서 가능합니다. 
 
 
 
1) 한글자막 해설
- 전회차 개방형 한글자막 해설 : 무대 뒷벽 중앙에 대사 및 음향, 음악 정보가 표시됩니다.
- 대본 공유 : 공연 관람 전후 대본이 필요하신 분은 접근성 매니저(070-8095-1405)에게 문의해주시면, 복지카드 증빙 및 보안 유지 서약 절차를 통해 제공해드립니다.
- 필담 : 매표소 및 물품보관소 이용 시 문자로 소통 가능합니다.
 
 
2) 접근성 가이드 테이블 
- 접근성 가이드 테이블이란? 공연의 시각적 정보를 중심으로 한 작품 소개 및 미니어처를 살펴보실 수 있도록 운영하는 테이블입니다. 전회차 공연 시작 한 시간 전부터 로비에서 접근성 매니저가 안내합니다. 
- 사전음성소개 : 접근성 예매 관객 분들에 한해 공연의 시각적 정보를 녹음한 파일 및 텍스트를 관람일 전 링크로 공유드립니다. 접근성 가이드 테이블의 QR코드 및 아이패드로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 무대 및 의상 미니어처 : 관객입장 전 접근성 가이드 테이블에서 무대와 의상 모형을 만져보실 수 있습니다. 
- 시각장애인 안내견과 동반 관람이 가능합니다. 안내견의 컨디션에 따라 로비에서 스탭과 함께 대기할 수 있습니다. 
- 안내 보행은 관람 전후 극장과 종로5가역 1번 출구를 오가는 기준으로 동행합니다. 관람일 하루 전까지 접근성 매니저에게 신청 바랍니다. (연락처 070-8095-1405)
 
 
3) 휠체어석
- 본 공연의 휠체어석은 회차당 2석입니다. 휠체어석 이용 시 접근성매니저(070-8095-1405)에게 예매 바랍니다. (문자/전화 가능) 
- 문자 소통이 필요할 시 접근성 매니저에게 연락주세요. 
- 엘리베이터의 크기는 입구_가로1.1M*세로2.1M, 내부_가로2M*세로2.3M*대각2.5M 입니다. 와상장애인의 경우 해당 규격을 참고해주시고, 관람 시 객석 안내를 위해 사전 연락 부탁드립니다.  
 
 
4) 기타
- 장애인 화장실은 지상 1층에 여자 화장실, 지하 1층에 남자 화장실이 각 1칸씩 있습니다. 
- 건물에 엘리베이터가 있습니다. 
- 저신장 관객을 위한 발 받침대가 2개 있습니다. 접근성 매니저에게 신청해주세요. 
- 주차는 유료입니다. 당일 관람객에 한해 4시간 5천원, 초과 시 10분당 1천원 주차요금이 발생합니다. 
-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1호선 종로5가역입니다. 종로5가역 1번 출구 계단에서 두산아트센터까지 도보로 3분 소요됩니다. 엘리베이터는 종로5가역 8번 출구에 있습니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지상에서 종로4가 방향(8번 출구 반대)으로 이동한 다음 횡단보도를 건너 다시 1번 출구 쪽으로 우회해 오셔야 합니다. 종로5가역에서 극장까지 휠체어로 7분 소요됩니다. 
- 작품의 프로그램북은 온라인으로만 제작되며, 매표소의 QR코드를 통해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세로로 긴 네모난 틀의 포스터이다. 환한 흰색 바탕에 회색의 굵은 세로 선이 중앙을 길게 가로 짓고 있다. 이 회색 선을 기준으로 하단의 좌우에는 창작진 여덟 명의 사진이 있다. 배우 여섯 명과 작가 겸 연출가, 작곡가의 모습이다. 좌우로 각각 네 명씩 나뉘어 있다. 이들은 화려한 색감의 촌발날리는 옷을 입고 있다. 언발란스 하면서도 묘하게 조화로운 스타일이다. 어떤 여자는 딱 달라붙는 5대 5 가르마를 하고 한복 저고리에 몸빼 바지를 입고 있다. 쇼파에 다리를 옆으로 뻗은 채 요염하게 앉아있다. 어떤 여자는 호피 무늬 잠옷을 입고 쇼파 위에 건들거리며 서 있다. 어떤 여자는 쇼파 팔걸이에 망연자실한 채 앉아 찻잔을 바닥에 기울이고 있다. 어떤 여자는 손으로 머리를 받친 채 옆으로 발라당 누워있다. 어떤 여자는 꽃무늬 두건을 두르고 노란 잠바 위에 빨간 한복 치마를 덧입고는 참하게 앉아있다. 어떤 여자는 헤어밴드를 하고 자전거 운동 기구를 밟고 서서 팔운동을 하고 있다. 어떤 남자는 머리가 길고 벨벳 정장 앞섶을 힘있게 쥐고 서 있다. 어떤 여자는 다리를 벌리고 터프하게 앉아있다. 어떤 분홍색 장미 한 송이는 마치 또 다른 여자처럼 크게 한 자리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뭐 하나라도 꽃무늬가 없는 게 없다. 게다가 사뭇 진지한 표정이다. 혼자 있는 듯하면서도 절묘하게 한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듯하다. 다음은 공연 개요에 대한 설명이다. 작품 신작 정보, 제목, 날짜, 장소가 중앙의 회색 세로 선에 덧입혀져 있다. 새빨갛고 큼직하다. 상중하로 나뉘어 가운데 정렬로 쓰였다. 나머지 공연 개요가 회색 선의 오른쪽에 바짝 붙어 쓰였다. 검고 작은 글씨다. 줄을 잘게 바꾸어 가로 폭이 좁고 세로로 길다. 하단 중앙에는 안내보행, 한글자막, 휠체어 접근성 픽토그램이 있다. 두산은 젊은 예술가들의 새로운 시도를 응원하고 지원합니다. 끝. 
 
							
							
						
					 
				
					
						
							
								유의사항
- 예매티켓 수령 및 현장구매는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 공연장 내에서는 휴대폰 전원을 꺼주시기 바랍니다.
- 공연 시작 후에는 객석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공연장 내에서는 꽃다발 증정,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음식물 반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주차장 이용 안내
- 이용시간: 오전 6시 ~ 오후 11시
- 주차공간: 지하 2층 ~ 지하 5층, 150여대
- 주차요금: 당일 관람 고객에 한해 4시간 5,000원 주차 할인권 제공, 4시간 초과 시 10분당 1,000원
 
 
취소 수수료
두산아트센터에서 예매 시, 취소일자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취소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예매일 기준보다 관람일 기준이 우선 적용됩니다.
단, 예매 당일 밤 12시 이전 취소 시에는 취소수수료가 없으며, 예매수수료도 환불됩니다.(취소기한 내에 한함)
 
	
		
			| 취소일 | 취소 수수료 | 취소 방법 | 
		
			| 예매 후 24시간 이내 취소 시 | 없음 | 홈페이지-마이페이지-예매내역에서 직접 취소 *관람 1일 전 오후 5시까지, 단 토요일은 오전 11시까지 가능
 이후 기간은 전화 문의만 가능
 | 
		
			| 관람일 10일전까지 | 없음 | 
		
			| 관람일 9~1일전까지 | 티켓금액의 10% 공제 후 환급 | 
		
			| 관람 당일 공연 시작 직전까지 | 티켓금액의 90% 공제 후 환급 | 전화 문의만 가능, 직접 취소 불가 | 
	
  * 온라인 취소 마감기한 이후 취소를 원할 경우 두산아트센터(02-708-5001)로 전화 문의
 응대시간: 화수목금 11~17시 (점심시간 12~13시, 월요일 휴관)
환불 및 변경
- 예매 변경을 원할 경우, 예매티켓 취소 후 재예매(취소 시, 두산아트센터 환불수수료 적용)
- 입장권 환불은 티켓 예매시 선택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 가능
  예) 신용카드로 예매한 경우 : 카드로 환불 가능, 가상계좌로 예매한 경우 : 환불일로부터 7~15일이내 고객 지정계좌로 이체 수수료 제외 후 환불
- 두산아트센터 티켓 이외의 외부 예매처나 공연기획사에서 예매한 티켓은 직접 예매한 곳으로 환불 및 변경 절차 문의
- 초대권 환불 불가
-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 시, 환불 불가
 
 
티켓 예매자는 본 안내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숙지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