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6기
2021.10.28 ~ 2021.12.03인사동 코트 및 두산아트센터 연습실(수업), 연강홀(발표)
- 강사성수연, 윤성호, 이향하
- 안내10.28-11.25 희곡 워크숍 (윤성호 극작가)
10.31-12.1 음악-전통연희 워크숍 (이향하 국악창작자)
11.2-12.3 연기∙제작 워크숍 (성수연 배우)
*분야별 발표회 1회 포함, 세부 일정 및 장소는 변경될 수 있음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6기
* 코로나19 상황(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일부 회차는 온라인으로 전환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발표회는 오프라인 진행)
워크숍 개요
- 기간: 2021. 10. 28(목) ~ 12. 3(금)
- 대상: 만 19~24세 청년(1996~2002년 출생자, 생일 무관)
- 장소: 인사동 코트 및 두산아트센터 연습실(수업), 연강홀(발표)
- 참가비: 무료
워크숍 소개
① 희곡 워크숍: 윤성호 극작가 *전공 무관
10.28(목)~11.25(목) 매주 월, 목요일 오후 2시~5시
② 음악-전통연희 워크숍: 이향하 국악창작자 *일부 전공자, 일부 전공 무관
10.31(일)~12.1(수) 매주 수, 일요일 오후 2시~5시 (*11.3 수-수업 없음)
*노래부문: 판소리 소리꾼(전공자) 5명
*연주부문: 연주자 15명 (전공/악기 종류 무관, 연주 가능하면 비전공자도 가능)
- 연습실 업라이트 피아노 사용 가능, 그외 별도의 악기 대여 및 제공은 없습니다.
- 피아노를 제외하고, 본인이 직접 휴대할 수 있는 악기로 지원해 주세요.
- 드럼 연주자는 전자드럼 혹은 퍼커션으로 지원해 주세요.
- 전자음악 지원 가능
*수업시간 외 유동적으로 팀원들과 합주 스케줄을 조율, 추가 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분
③ 연기∙제작 워크숍: 성수연 배우 *전공자(휴학/졸업생 포함) 또는 연기 유경험자에 한함
11.2(화)~12.3(금) 매주 화, 금요일 오후 2시~5시 (*단, 11.5 금, 11.12 금 10~13시 수업)
*연기 관련 전공자 또는 연기 유경험자(학교 동아리 공연 포함, 2편 이상)에 한해 지원 가능
*수업시간 외 유동적으로 팀원들과 작업 스케줄을 조율, 추가 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분
세부 일정표
- 수업 일정
아래 일정표 참고 (수업은 2~5시 진행. 단, 연기∙제작 워크숍 2회차, 4회차 수업은 10~13시)

- 발표회 일정
희곡 (11.25 목 1~6시), 음악-전통연희 (12.1 수 1~7시), 연기∙제작 (12.3 금 1~6시)
* 세부 일정, 장소는 변경될 수 있음
주최: ㈜두산
주관: 두산연강재단, 두산아트센터, 한국메세나협회
지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희곡 워크숍
나의 이야기가 희곡으로 변하는 과정을 경험합니다.
배우들의 낭독을 통해 내가 쓴 희곡이 무대에서 새롭게 피어납니다.
① 희곡은 무엇일까 / 희곡을 쓸 준비하기
② 희곡을 쓸 준비: 가설, 인물
③ 희곡을 쓸 준비: 플롯 / 어떻게 ‘극적’으로 쓸까?
④ 희곡을 쓸 준비: 최종점검
⑤ 서로의 희곡 읽어보기
⑥ 리얼함에 대하여
⑦ 거짓말에 대하여
⑧ 실전 희곡쓰기 tip
⑨ 발표회: 완성된 희곡 낭독

윤성호 극작가, 연출가
연극
작/연출 <죽음의 집><미인–거기 있던 말들><미인><해맞이>
각색/연출 <꿈이 아닌 연극>
작 <외로운 사람, 힘든 사람, 슬픈 사람><누수공사><이런 꿈을 꾸었다>
각색 <녹천에는 똥이 많다>
윤색 <메디아><미스 줄리><더 파워>
연출 <나선은하><외계인들><오해><자연사 박물관>
수상
2020 서울연극제 ‘연출상’, ‘희곡상’ <죽음의 집>
2019 월간 한국연극 ‘2019 공연 베스트 7’ <녹천에는 똥이 많다>
2018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 3’ <외로운 사람, 힘든 사람, 슬픈 사람>
음악-전통연희 워크숍
전통판소리 <심청가>에 지금 우리들의 감각을 더해 새롭게 창작해봅니다.
판소리에 쓰이는 장단과 음악적 기법들을 경험하면서 소리꾼과 다양한 음악가들이 함께 소리와 음악을 만듭니다.
① 하나의 이야기가 판소리가 되기까지: 판소리 알기, 창본 읽는 방법
② 판소리 음악 만들기를 위한 워밍업
장단(중모리, 중중모리) 트레이닝, 심청가 눈대목 OST 만들기
③ 전통음악의 토리 알기
장단(자진모리, 휘모리) 트레이닝, 드라마나 인물에 따른 토리와 조의 활용
④ 판소리 장단의 미학
장단(진양, 엇모리) 트레이닝, 한국 전통 장단 중 2, 3분 혼합박자 배우기
⑤ 고수의 기술
즉흥적으로 소리꾼과 호흡하는 고수의 기술을 자신이 가진 음악적 재료로 표현하기, 각 내기, 거두기와 늘이기, 따라치기
⑥ 이면의 세계 1
“이면을 그리다”의 의미, 이면의 복합성을 이용한 드라마 표현하기
⑦ 이면의 세계 2
더늠: 긴 세월동안 여러 사람의 이면이 더해져 만들어진 지금의 판소리
⑧ 최종 리허설: 소리꾼(스토리텔러)과 고수(음악가)의 용호상박
⑨ 함께 만든 소리와 음악 (극장 리허설 및 공연 발표)

이향하 국악창작자, 입과손스튜디오 대표
판소리
판소리 레미제라블 토막소리시리즈 1 <팡틴>, 2 <마리우스>, 3 <가브로슈>
완창판소리프로젝트2 <강산제 수궁가> 완창판소리프로젝트1 <동초제 심청가>
<동초제 춘향가-몽중인><몽중인_나는 춘향이 아니라,>
판소리동화시리즈 <안데르센>
<억척가><사천가> 외
음악극 <마이뇨_뒷전거리편>, 민요소설극장 <다시, 봄>
연극 <당통의 죽음>
수상
2019 제20회 공주박동진판소리명창명고대회 명고부 대상(국무총리상)
연기∙제작 워크숍
배우가 주체가 되어 만드는 공동창작 프로덕션을 경험합니다.
창작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경험하며 한 편의 공연을 완성합니다.
① 공동창작의 이해, 공동창작 과정 안에서의 다양한 역할 알기
② 공동창작을 위한 개인 작업 만들기 (1인극장) 1
③ 공동창작을 위한 개인 작업 만들기 (1인극장) 2 / 팀 편성
④ 함께 작업하기 1: 팀내 약속 및 역할 정하기
⑤ 함께 작업하기 2: 테마에 대한 공통의 관점 찾기, 작업의 방향성 정하기
⑥ 함께 작업하기 3: 다양한 표현 방법
⑦ 공연 형식 만들기: 팀별 장면 발표 및 피드백
⑧ 최종 리허설
⑨ 극장 리허설 & 발표 및 합평
*참고 도서
<문체 연습>(레몽 크노), <뉴다큐멘터리 연극>(남지수)
논문) <폴스트 엔터테인먼트의 디바이징 드라마투르기>(최영주)
<극단 크리에이티브 VaQi의 공동창작 특성 연구- 텍스트로서의 사람 장소 사건->(이경성)

성수연 배우
연극
<우리는 농담이(아니)야><제4의 벽><액트리스 투: 악역전문로봇><액트리스 원: 국민로봇배우 1호>
<로테르담><소리의 뼈><러브 스토리><이번 생에 페미니스트는 글렀어><워킹 홀리데이><개인의 책임><비포 애프터><몇 가지 방식의 대화들> 외
수상
2019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젊은연극상’ <액트리스 원: 국민로봇배우 1호>
2015 동아연극상 ‘유인촌신인연기상’ <비포 애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