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4기
2020.10.26 ~ 2020.12.02- 프로그램두산아트스쿨
- 강사김수정, 윤미현, 윤성호
- 안내온라인 수업 예정
희곡 워크숍은 1회차 및 발표회는 두산아트센터에서 진행 예정무료
10.26-11.30 연기∙연출 워크숍 (김수정 연출가)
10.27-11.24 희곡 워크숍(윤미현 극작가)
11.4.-12.2 희곡 워크숍 (윤성호 극작가)
*분야별 발표회 1회 포함, 세부 일정 및 장소는 변경될 수 있음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4기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아티스트와 함께 창작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예술창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알려주고 창작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연기∙연출 워크숍: 김수정 연출가
10.26(월)~11.30(월) @온라인 수업 및 발표회
희곡 워크숍(화금): 윤미현 극작가
10.27(화)~11.24(화) @온라인 수업 및 오프라인 발표회(두산아트센터 B연습실)
희곡 워크숍(수토): 윤성호 극작가
11.4(수)~12.5(토) @온라인 수업 및 오프라인 발표회(두산아트센터 B연습실)
세부 일정
분야 |
내용 |
일정 |
시간 |
장소 |
연기 연출 |
수업(10회) |
10월 26(월) 11월 2(월), 9(월), 16(월), 23(월) |
2~6PM |
온라인 |
10월 29(목) 11월 5(목), 12(목), 19(목), 26(목) |
10AM ~2PM |
|||
발표회(1회) |
11월 30(월) |
2~7PM |
||
희곡 (화금) |
수업(8회) |
10월 27(화), 30(금) 11월 3(화), 6(금), 10(화), 13(금), 17(화), 20(금) |
2~5PM |
온라인 |
발표회(1회) |
11월 24(화) |
2~6PM |
두산아트센터 B연습실 |
|
희곡 (수토) |
수업(8회) |
11월 4(수), 7(토), 11(수), 14(토), 18(수), 21(토), 25(수), 28(토) |
2~5PM |
온라인 |
발표회(2회) |
12월 2(수) |
2~6PM |
두산아트센터 B연습실 |
* 세부 일정, 장소는 변경될 수 있음
주최 ㈜두산
주관 (재)두산연강재단, 한국메세나협회
지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커리큘럼 및 강사 소개
연기∙연출 워크숍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동창작으로 온라인 연극하기
현장작업 방식 및 접근 방법, 젊은 작업자들의 공동창작 방식을 알려줍니다.
① 2020년의 연극 / 배우와 연출의 커뮤니케이션
② 기초 필라테스 / 신체 매커니즘
③ 팀 선정&프리프로덕션 구성 / 장면발표 가이드
④ 장면발표1 / 세부연기론과 연출론
⑤ 장면발표2 / 연출안과 작품 구성에 대한 이해
⑥ 장면발표3 / 텍스트 분석 및 디벨롭
⑦ 작품 디벨롭1
⑧ 작품 디벨롭2
⑨ 작품 디벨롭3
⑩ 최종 리허설
⑪ 온라인 리허설&발표
김수정 연출가, 극단 신세계 대표
연극
<이갈리아의 딸들><공주(孔主)들><광인일기><파란나라><1111><망각댄스_세월호편>
<말 잘 듣는 사람들><보지체크><사랑하는 대한민국> 외
수상
2019 제40회 서울연극제 '우수상' '관객훈장' <공주(孔主)들>
2017 제54회 동아연극상 ‘새개념연극상’ <파란나라>
2017 월간 한국연극 ‘2017 공연 베스트 7’ <파란나라> 외
희곡 워크숍 (화금)
반전이 없어도, 사건이 흘러가는 공간과 시간이 변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마주하는 일상으로 한 편의 단막희곡을 쓰고 다듬고 완성합니다.
① 희곡 쓰는 날
② 일상에서 사건을 마주하는 일과 무대에서 사건을 마주하는 일
③ 작가가 쓰는 말, 무대에서 배우가 하는 말
④ 일상에서 만난 사건을 꾸준히 생각하는 일
⑤ 우리가 말하는 리얼리즘에 관하여
⑥ 무대 위에 사건 투척하기
⑦ 단막 희곡쓰기
⑧ 내가 쓴 희곡 속 캐릭터 되어보기
⑨ 희곡을 무대 위로 이사 보내는 날: 희곡 낭독
윤미현 극작가
연극
<텍사스고모><크림빵을 먹고 싶었던 영희><할미꽃단란주점 할머니가 메론씨를 준다고 했어요>
<광주리를 이고 나가시네요, 또><궤짝><장판><철수의 난><경복궁에서 만난 빨간 여자>
<팬티입은 소년><젊은 후시딘 - 어 러부 스토리><평상><텃밭킬러><우리 면회 좀 할까요?>
창작오페라
<텃밭킬러><검은 리코더>
수상
2019 제10회 두산연강예술상 공연부문
2019 제55회 동아연극상 희곡상 <텍사스고모>
2019 제9회 벽산문화상 희곡상 <목선>
2017 제4회 ASAC 희곡공모 대상 <텍사스고모> 외
희곡 워크숍 (수토)
나의 이야기가 희곡으로 변하는 과정을 경험합니다.
배우들의 낭독을 통해 내가 쓴 희곡이 무대에서 새롭게 피어납니다.
① 희곡은 무엇일까 / 희곡을 쓸 준비하기
② 희곡을 쓸 준비: 가설, 인물
③ 희곡을 쓸 준비: 플롯 / 어떻게 ‘극적’으로 쓸까?
④ 희곡을 쓸 준비: 최종점검
⑤ 서로의 희곡 읽어보기
⑥ 리얼함에 대하여
⑦ 거짓말에 대하여
⑧ 실전 희곡쓰기 tip
⑨ 발표회: 완성된 희곡 낭독1
⑩ 발표회: 완성된 희곡 낭독2
윤성호 극작가, 연출가
연극
작/연출 <죽음의 집><미인–거기 있던 말들><미인><해맞이>
작 <외로운 사람, 힘든 사람, 슬픈 사람><누수공사><이런 꿈을 꾸었다>
연출 <나선은하><외계인들><오해><자연사 박물관>
각색 <녹천에는 똥이 많다>
윤색 <메디아><미스 줄리><더 파워>
수상
2019 월간 한국연극 ‘2019 공연 베스트 7’ <녹천에는 똥이 많다>
2018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 3’ <외로운 사람, 힘든 사람, 슬픈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