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3기
2020.07.04 ~ 2020.08.03대학로 TOM Theater 연습실
- 강사윤성호, 진기종, 김수정
- 안내무료
(참가자 접수 완료)
7.4-7.25 희곡 워크숍 (윤성호 극작가)
7.7-7.28 무대미술 워크숍(진기종 미술작가)
7.13-8.3 연기∙연출 워크숍 (김수정 연출가)
*분야별 발표회 1회 포함, 시간 및 장소 미정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3기
예술가를 꿈꾸는 분들을 모집합니다!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아티스트와 함께 창작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예술창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알려주고 창작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참가자 모집 완료(6.19 발표 예정)
워크숍 개요
① 희곡 워크숍: 윤성호 극작가
7.4(토)-7.25(토) 매주 수, 토요일 오후 2시~6시
@대학로 TOM Theater 연습실
② 무대미술 워크숍: 진기종 미술작가
7.7(화)-7.28(화) 매주 화, 금요일 오후 2시~6시
@대학로 TOM Theater 연습실
③ 연기∙연출 워크숍: 김수정 연출가
7.13(월)-8.3(월) 매주 월요일 오후 2시~7시, 목요일 오전 10시~오후 3시
@대학로 TOM Theater 연습실
*분야별 발표회 1회 포함, 시간 및 장소 미정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주최: ㈜두산
주관: 두산연강재단, 두산아트센터, 한국메세나협회
지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희곡 워크숍
나의 이야기가 희곡으로 변하는 과정을 경험합니다.
배우들의 낭독을 통해 내가 쓴 희곡이 무대에서 새롭게 피어납니다.
1강 희곡은 무엇일까
2강 희곡을 쓸 준비 ①가설, ②인물
3강 희곡을 쓸 준비 ③플롯
4강 희곡을 쓸 준비 ④최종점검
5강 서로의 희곡 읽어보기
6강 리얼함에 대하여, 실전 희곡쓰기 tip
7강 발표회: 완성된 희곡 낭독
윤성호
극작가, 연출가, DAC Artist

연극
작/연출 <죽음의 집><미인–거기 있던 말들><미인><해맞이>
작 <외로운 사람, 힘든 사람, 슬픈 사람><누수공사><이런 꿈을 꾸었다>
연출 <나선은하><외계인들><오해><자연사 박물관>
각색 <녹천에는 똥이 많다>
윤색 <메디아><미스 줄리><더 파워>
수상
2019 월간 한국연극 선정 ‘2019 공연 베스트 7’ <녹천에는 똥이 많다>
2018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선정 ‘올해의 연극 베스트 3’ <외로운 사람, 힘든 사람, 슬픈 사람>
무대미술 워크숍 *무대미술 관련 전공자 혹은 경험자 우대
무대란 삶의 순간들을 관객이 들여다 볼 수 있는 공간에 박제하는 것입니다.
무대미술의 다양한 표현 방식의 가능성을 고민하고 나의 무대를 디오라마(diorama)로 표현해 봅니다.
1강 무대란 무엇일까
2강 디오라마와 무대미술
3강 실습 ①스토리 분석, 공간 배치
4강 실습 ②스케치, 재료 선정
5강 실습 ③디오라마 무대 제작
6강 실습 ④디오라마 무대 제작, 촬영
7강 발표회: 디오라마 무대와 영상, 스토리보드 전시
진기종
미술작가

제작/연출
2019 서울시 공공미술프로젝트, 홍제천 <미장센-홍제유연> 홀로그램 팬 영상
2016 단원미술관 김홍도 행려풍속도 디오라마, 영상
2014 소치동계올림픽 평창 홍보관 미디어아트 월 영상
2006 통영국제음악제 개막작 <로즈> 무대디자인
개인전
2019 <21세기 박제사> (SINAP 신도문화공간, 서울, 한국)
2018 <알려지지 않은 마을> (KIAF2018 코엑스, 서울, 한국)
2017 <무신론보고서> (갤러리현대, 서울, 한국)
수상
2018 제 8회 SINAP 신도리코 미술상
2017 제1회 JCC 프론티어 미술대상 대상
2017 제17회 송은미술대상 우수상
연기∙연출 워크숍 *연기 15명 내외, 연출 3명 선정
무대 위에 직접 올라가 극 중 인물과 만나고, 공연을 올리는 과정을 경험해 봅니다.
1강 신체의 원리 / 프로덕션의 이해
2강 자세 교정 및 근력 훈련 / 프리프로덕션
3강 테이블리허설
4강 스탠딩리허설 ①
5강 스탠딩리허설 ②
6강 공연리허설
7강 발표회: 극장리허설&무대 발표
김수정
연출가, 극단 신세계 대표, DAC Artist

연극
<이갈리아의 딸들><공주(孔主)들><광인일기><파란나라><1111><망각댄스_세월호편><말 잘 듣는 사람들><보지체크><사랑하는 대한민국> 외
수상
2019 제40회 서울연극제 '우수상' '관객훈장' <공주(孔主)들>
2017 제54회 동아연극상 ‘새개념연극상’ <파란나라>
2017 월간 한국연극 ‘2017 공연 베스트 7’ <파란나라> 외
희곡 워크숍
희곡을 쓴다는 것은 얼핏 보면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입니다. 희곡은 기본적으로 사람(배우)이 등장하고, 그들의 말을 통해 내용이 전개됩니다. 그렇기에 사람들과 만나며 말을 하는 그 누구든 희곡을 쓸 수 있습니다. 누구나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희곡은 바로 나에게 가장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는 행위입니다. 나에게서 가장 가까운 이야기가 희곡으로 변하는 과정에 참여해봅니다. 그리고 내가 쓴 희곡을 배우들이 읽는 과정을 통해, 내 이야기가 무대에서 피어납니다.
윤성호
극작가, 연출가, DAC Artist
1강
희곡은 무엇일까
- 연극은 무엇일까? 그 제약은 무엇일까? 그럼 왜 희곡을 쓸 것인가?
- 나는 어떤 이야기를 쓰고 싶은가?
- 무엇을 말할 것인가? 어떻게 말할 것인가?
2강
희곡을 쓸 준비 ①가설, ②인물
- 어떻게 생생한 인물을 만들까? 인물의 설정: 세가지 차원에서 인물의 조건: 인물의 성장, 인물의 욕망: 인물을 움직이게 하는 것들
3강
희곡을 쓸 준비 ③플롯
- 플롯과 줄거리의 차이, 플롯의 구성과 특징: 배경, 공간, 상황
- 자신이 쓴 가설과 인물이 안착할 플롯을 만들어보기
어떻게 ‘극적’으로 쓸까?
- 무엇이 극적일까? 어떻게 갈등을 심화시킬까? 다시 욕망을 들여다보기
4강
희곡을 쓸 준비 ④최종점검
- 자신이 쓴 플롯을 공유하기: 가설, 인물, 플롯 점검
- 욕망, 행위, 등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실제로 희곡 써보기
5강
서로의 희곡 읽어보기
- 관객의 입장 되어보기, 관객이 희곡을, 공연을 봐야할 이유는?
- 무엇이 보완되어야 할까?
6강
리얼함에 대하여
- 리얼함, 그럴듯함이란 무엇일까?
- 리얼함은 어떻게 획득할 것인가?: 관객과 인코딩하기
- 리얼함에 성공하고 있는 희곡 읽어보고 분석하기
실전 희곡쓰기 tip
- 대사, 독백은 어떻게 써야할까?
- 왜 너무 단순하거나 유치한 글이 나올까?
- 실제 연극 만들기 현장에서 작가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7강
발표회
- 배우를 통해 희곡 낭독하기
무대미술 워크숍
무대란 디오라마*와도 같이 인간이 창조해 낸 현실∙비현실, 과거∙현재∙미래라는 시공간의 찰나의 순간들을 관객이 들여다 볼 수 있는 공간에 박제하는 것입니다. 그 안에 펼쳐진 미장센과 등장인물들의 행위를 통해 우리는 스스로를 돌아보게 됩니다. 디오라마 기법을 활용해 무대미술의 다양한 표현 방식의 가능성을 고민하고, 무대에 대한 생각의 경계를 확장합니다. 그리고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은 나의 무대를 디오라마로 표현해 봅니다.
*Diorama: 배경 위에 축소 모형을 설치해 특정한 장면을 만들거나 배치하는 것
진기종
미술작가
1강
무대란 무엇일까
- 무대(Stage)에 대한 폭넓은 정의와 예시
- 트루먼쇼의 무대, 미셸공드리의 미장센 등
2강
디오라마와 무대미술
- 진기종 작가 작품을 통해 본 디오라마 기법의 활용과 미장센 연출
- 디오라마와 무대미술의 연관성
3강
실습 ①스토리 분석, 공간 배치
- 스토리 분석과 공간배치 방법
- 무대에 활용 가능한 기법: 뉴미디어 등
4강
실습 ②스케치, 재료 선정
- 개별적 경험(실제, 환상, 꿈, 타인, 차용)을 무대화하기
- 스케치 및 재료 선정
5강
실습 ③디오라마 무대 제작
- 스토리 정리와 무대구상을 바탕으로 디오라마 무대 제작
- 각종 기법에 대한 개별 제시
6강
실습 ④디오라마 무대 제작, 촬영
- 디오라마 무대 완성
- 관객의 시선에서 무대를 촬영해보기
7강
발표회
- 디오라마 무대와 영상, 스토리보드 전시
연기∙연출 워크숍
연기는 스스로를 인식하고 관찰하는 과정입니다. 막연하고 멀게 느껴지던 무대 위로 올라가 직접 서고, 보고, 걷고, 말하기를 해봄으로써 극 중 인물을 본인만의 스타일로 소화하고 내 것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인물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신체적으로 오감을 깨우고 느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또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타인에 의해 움직이는 내가 아닌 주도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해봄으로써 자신에 대해 더 잘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습니다. 연기와 연출을 통해 프로덕션을 경험해보면서 공연 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높일 수 있습니다.
김수정
연출가, 극단 신세계 대표, DAC Artist
1강
신체의 원리
- 프로덕션의 개념과 역할 이해
- 무대용어의 이해
- 프로덕션 내 커뮤니케이션
배우의 신체의 원리
- 수업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
- 무대 위에서 서고, 보고, 걷고, 말하는 지금의 나를 파악하기
- 기초해부학을 바탕으로 한 신체의 기본 원리 이해
2강
자세 교정 및 근력 훈련
- 기초 필라테스를 바탕으로 한 자세 교정 및 근력 훈련
- 기초 발레를 바탕으로 한 자세 교정 및 기초 체력 훈련
무대 위에서 서고, 보고, 걷고, 말하기
- 자기 소개하기
- 피드백
텍스트 선정&팀선정&프리프로덕션
3강
테이블리허설
- 테이블리허설의 이해 및 작업
4강
스탠딩리허설 ①
- 스탠딩리허설의 이해 및 작업
5강
스탠딩리허설 ②
- 스탠딩리허설의 이해 및 작업
6강
공연리허설
- 공연리허설의 이해 및 작업
7강
발표회
- 극장리허설의 이해 및 작업
- 무대 발표